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간단!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3분이면 끝!

by gov25시 2025. 3. 13.

보건증 인터넷 발급 썸네일

1.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이란?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식당, 카페, 빵집, 편의점, 어린이집 등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서류예요. 보건증이 있어야 위생과 건강을 잘 지키면서 일할 수 있어요.

2. 누가 보건증을 받아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꼭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해요.

  • 식당, 카페, 빵집, 편의점에서 일하는 사람
  •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사람
  • 어린이집, 학교 급식소에서 일하는 사람
  • 그 외 법에서 정한 보건증이 필요한 직업

3. 보건증은 어떻게 받을까요?

보건증을 받으려면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온라인으로 발급받는 방법이 가장 쉬워요.

보건증 발급 절차

1) 보건소에서 건강검진 받기

2) 공공보건포털(구 보건소 포털) 또는 정부24에서 보건증 발급 신청하기

  • 공공보건포털 또는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해요.
  • 회원가입 또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요.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3) 보건증 출력 및 저장하기

  •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메뉴를 선택해요.
  • 본인 확인 후 검진 결과를 확인하고 PDF 파일로 저장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어요.

📱 모바일에서도 보건증 발급이 가능할까요?

핸드폰으로도 공공보건포털에 접속할 수 있지만, 출력(프린트)이 어려울 수 있어서 컴퓨터로 하는 것이 더 편리해요.

4. 보건증 유효기간과 재발급 방법

  • 보건증 유효기간: 보통 1년이에요.
  • 재발급 방법: 보건증을 잃어버렸다면, 보건소를 방문하거나 공공보건포털에서 온라인으로 다시 받을 수 있어요.

5. 보건증이 온라인으로 발급되지 않을 때는?

  • 검사 결과가 아직 등록되지 않았다면? 검진 후 최대 7일 정도 기다려요.
  • 본인 인증이 안 된다면? 공동인증서 로그인 또는 다른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해 보세요.
  • 출력이 안 된다면? PDF 파일로 저장한 후 인쇄해 보세요.

6. 보건증을 받을 때 주의할 점

  • 검진 예약을 미리 하는 것이 좋아요. (보건소마다 대기 시간이 다를 수 있어요.)
  • 유효기간을 꼭 확인하고, 만료 전에 다시 검진받아요.

7. 마무리

보건증은 위생과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서류예요. 이제는 보건소에서 검진을 받은 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으니 편리하게 이용해 보세요!

보건증 발급을 빠르게 하고 싶다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 공공보건포털에서 온라인 발급을 이용하세요!